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사용하는 스위치 중에 3로 스위치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즉 거실 스위치, 회의실 스위치, 화장실 스위치처럼 한 곳에서만 전등의 ON/OFF 가 가능한 것을 단로(또는 1로, 1way) 스위치라고 하며 계단 또는 거리가 있는 복도 등과 같이 앞 또는 뒤, 위 또는 아래의 어느 곳에서도 전등의 ON/OFF 가 가능한 스위치를 3로 스위치라고 합니다. 이러한 3로 스위치는 생각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으니 이에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Ⅰ. 스위치의 구분
아래는 단로(또는 1로) 스위치와 3로 스위치의 뒷면에 대한 실제 이미지입니다.
상기의 이미지에서 보시듯이 단로 스위치와 3로 스위치는 외형적으로 정말 똑같습니다. 차이점은 붉은색 원 안의 그럼처럼 내부의 회로 구성이 틀리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3로 스위치임을 확인하는 방법은 스위치 뒷면의 회로도뿐입니다.
- 숫자 1 ▶ 단로 스위치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며 왼쪽 또는 오른쪽 아무 곳에 전선을 각각 연결하면 됩니다. 일반적은 스위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게시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숫자 2 ▶ 3로 스위치로 왼쪽 구멍 1개에 전원선( R, S, T 선 ) 1가닥, 오른쪽 구멍 2개에 2가닥을 선을 각각 삽입하여 다음 스위치로 연결을 합니다.
Ⅱ. 3로 스위치 구성하기
상기의 3로 스위치 2개를 이용하여 시설하는 방법이며 아래의 이미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출처:https://theorycircuit.com/two-way-light-switch-connection/ )
- 왼쪽 이미지 ▶ 계단을 예시로 이해하기 쉽게 구성된 이미지입니다.
- 오른쪽 이미지 ▶ 왼쪽 이미지를 바탕으로 실제 벽안에 매입되는 전선 및 전선관을 직접 그린 이미지입니다.
- 3로 스위치 2개가 연결되는 회로도입니다.
- 일반적으로 누전차단기(전원)에서 아래쪽으로 나오는 전원선 중에서 왼쪽선은 R, S, T 상중에 하나이고, 오른쪽은 N 상(중성선)이 일반적입니다.
- 전선로의 경로 : 누전차단기의 왼쪽선에서 출발 ▶ 스위치로 가고 ▶ 전등을 거친 후 ▶ 누전차단기로 도착
- 누전차단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게시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가정용 분전함에서 볼 수 있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에 대해서
가정용 분전함(두꺼비집)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가지 차단기 중에서 누전차단기(ELB : Earth Leakage Breaker)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분전함의 커버를 열어보시면 보이는 것으로 부하 말단(제일 마
min7149.tistory.com
Ⅲ. 스위치의 명칭
상단에 설명하였듯이 스위치는 단로, 3로, 4로 스위치로 구분을 합니다. 여기서 또 스위치의 버튼 수에 따라 종류가 나누어집니다. 1구, 2구, 3구, 4구 스위치라고 합니다.
- 예시 : 단로 1구 스위치, 단로 2구 스위치, 3로 1구 스위치,,,,,,,
- 왼쪽은 3로 1구 스위치이며 오른쪽은 3로 2구 스위치입니다.
- 참고 : 3로라는 의미는 회로의 접점이 3개 이기에 3로라고 하는 것입니다. 물론 4로라는 것은 접점이 4개입니다.
이상으로 3로 스위치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아래는 제품 및 일반 스위치에 대한 게시물이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노 아트2 스위치 콘센트 통신
COUPANG
www.coupang.com
2구 스위치 교체 방법 및 구조에 대해서
일반 가정에서 벽면의 스위치 고장 또는 전체적인 미관상의 이유로 인해 스위치를 교체 해야 할 때 이 스위치의 구조 및 교체방법에 대해 알고 있어야 교체하기가 쉬울 것입니다. 스위치 역시
min7149.tistory.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전기 분야 > 전기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 SA, SPD에 대해서 (2) | 2023.09.18 |
---|---|
무정전 전원 장치(UPS)에 대해서 (0) | 2022.10.28 |
배터리(Battery), 전지(電池)에 대해서 - 세 번째 (0) | 2022.09.30 |
배터리(Battery), 전지(電池)에 대해서 - 두 번째 (2) | 2022.09.20 |
배터리(Battery), 전지(電池)에 대해서 - 첫 번째 (0) | 2022.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