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 분야88

나사 또는 피스의 종류(규격)에 대해서 일상생활에 있어서 많은 곳에 사용이 되는 나사(피스)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나사(피스)의 사전적 의미는 "몸의 표면에는 나사 모양으로 홈이 나 있고, 머리에는 드라이버로 돌릴 수 있도록 홈이 나 있는 못"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인테리어 공사, 전기 공사, 목공 현장 등에서는 간단히 피스라고도 합니다. 그리고 이 나사는 사용 목적에 맞게 매우 다양한 종류 및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나사의 기본적인 부분과 대표적인 몇 가지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나사의 구조 아래는 나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입니다. 상기의 이미지처럼 나사의 구조는 나사 머리, 나사산, 나사 끝으로 되어있습니다. 나사 머리 : 드릴 또는 드라이버로 돌릴 수 있는 홈이 있는 부위로 다양한 형태가 있.. 2021. 9. 30.
변압기의 동작 원리 및 구조와 종류에 대해서 전기와 관련하여 일상생활 속에 있지만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변압기(Electric transformer)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이 변압기는 말 그대로 전압을 높이거나(승압) 또는 낮추는(강압) 기기를 말하는 것입니다. 현장에서는 트랜스라고 말하며 예전에는 일본식 표현으로 "도란스"라고 불리었습니다. 암튼 이 변압기는 거리에 있는 전봇대(전주)에서 보실 수 있고(유입변압기로써 주상변압기라고 부름) 가정에서는 수입산 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다운 트랜스 및 전기기기에 사용되는 어댑터 내부에도 아주 작은 변압기가 들어있습니다. 그럼 아래에서는 이 변압기의 동작원리 및 그 구조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Ⅰ. 동작원리 및 구조아래는 변압기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그림이며, 이는 가정용 다운 트랜스에서도 보실 .. 2021. 9. 17.
LED등(일자형, 십자형) 교체 및 설치하기 일상 생활중에 갑자기 전등이 켜지지 않을 때, 또는 깜박인다든지 하는 경우와 같이 난감할 때가 있습니다. 예전에는 형광등을 주로 사용하였기에 등 교체만 하면 되었지만 최근에는 밝기, 수명, 저전력이라는 장점을 가진 LED 등을 많이 추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일반적인 일자형(십자형 또한 동일한 구조임)을 예로 들어 LED 등 교체와 관련된 이야기를 아래에서 설명하고자 합니다.(아래의 이미지 중 파란색 선이 천장 면에 해당합니다.) LED 등의 구성품 LED 등의 포장박스를 열어보시면 아래와 같은 구성품이 들어있습니다. 숫자 1 : 작은 구성품으로 왼쪽부터 칼블럭(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벽면에 단단히 고정할 때 사용), 고정 피스(브래킷을 벽면에 고정할 때 사용), 커넥터(전등의 전선과 천장에서 나온 .. 2021. 9. 14.
접지 방식 및 접지선의 굵기에 대해서 전기와 관련된 일을 하게 되면 매번 접하게 되는 것이 이 접지입니다. 최근에는 접지 관련 규정이 변경 되었지만 예전에는 E1, E2, E3, 특E3 로 접지를 분류 하였고 그에 따라 접지 저항값이 정해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1년을 기준으로 관련 규정이 변경되었기에 아래에서 변경 전과 변경 후의 접지방식 및 접지선의 굵기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접지방식의 변경 변경 전과 변경 후의 접지방식에 대한 표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사무실은 220 [V] 또는 380 [V] 이므로 3종 접지에 해당합니다. 그러므로 접지선의 접지저항값이 100 [Ω] 이하면 충분하였습니다. 2021년 기준으로 이러한 종별 구분이 폐지가 되고 상단 표의 내용과 같이 4가지로 계통 접지, 보호 접지, 피뢰 시스템 접지, .. 2021. 9. 9.
절연저항 기준에 대해서 우리들이 평소에 사용하는 전기기기의 모든 제품들은 언제든지 누전( 즉, 전기가 새어 나간다. )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금 순간에도 모든곳에서 미세한 누전은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럼 어느정도 누전이 되었을때 문제가 되는가 하는 기준이 필요합니다. 이에 한국전기설비규정에서는 누전과 관련하여 절연저항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고 그 규정은 전압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이 절연저항에 대해서 알아보고 올해 초(2021년 1월 1일 시행)에 그 규정에 대한 내용이 조금 변경되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절연저항의 의미 먼저 전선을 이야기하면 전선은 2가지, 즉 전도체(구리) + 절연체(구리를 감싸고 있는 피복)로 구성되어있고 이 절연체의 저항 성분을 절연저항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절연저항 성분.. 2021. 9. 8.
전선의 색상에 대해서 분전반 또는 배전반에서 확인이 가능한 전선들(각 상에 대한)의 색상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전선의 색상은 다양하게 있지만 나름의 규정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기존 규정(내선규정)에서 현재(2021년 1월 1일) 규정으로의 몇 가지 변경된 부분(전선 색상, 절연저항, 허용전류에 따른 전선의 굵기, 접지 기타 등등) 중에 전선 색상에 관해서만 그 내용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이 전선의 색상과 관련하여 자격증 시험 문제로도 자주 출제가 되는 부분이므로 유념하시길 바라며 아래에서 표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내선규정에서 한국전기설비규정으로 변경2020년까지는 아래와 같이 몇 가지 표준 또는 규정에 따라 각각 전선의 색상을 규정하였으며, 그로 인해 실제 현장에서는 혼란스러운 상황이었고, 안전성과 관련해서도 문제.. 2021. 9. 4.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구성과 기전과장(전기과장) 급여에 대해서 전기안전관리와 관련하여 다양한 직업이 있으며, 그중에서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에는 관리소장을 비롯하여 관리과장, 시설과장, 전기과장, 영선과장, 기전과장, 기전기사, 시설기사, 전기기사, 영선주임, 시설주임, 경리 등등 다양한 명칭의 다양한 구성원들로 구성 되어있으며 이들이 하는 업무 또한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개략적인 내용과 전기(기전)과장에 대한 자세한 설명 하겠습니다. 먼저 아파트의 관리사무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구성 1. 기본 조직 구성 관리 : 행정, 회계, 경리, 서무 업무 시설 : 전기, 기계, 영선, 조경 업무 미화 : 청소 업무 보안/경비 : 외부인 통제 및 경비 생활편의 : 피트니스, 골프연습장, 독.. 2021. 9. 2.
가정용 분전함(두꺼비집)에서 차단기가 떨어졌을때 - 세번째(에어컨 관련) 에어컨과 관련 있는 차단기가 떨어졌을 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참고적으로 첫 번째 및 두 번째에서는 각각 전등 및 전열과 관련한 차단기가 떨어졌을 때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암튼 에어컨과 관련 있는 차단기라 함은 일반적으로 전용의 차단기를 이야기합니다. 보통 가정에서 사용하는 벽걸이 같은 경우는 정격용량이 3 [KW] 미만이라 벽면 콘센트를 이용하여 사용하셔도 무방하나 스탠드형 같은 경우는 전용의 차단기(즉 에어컨에만 전기를 공급하는 차단기)에서 공급을 받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럼 아래에서 자세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Ⅰ. 기본적인 사항 차단기의 용량이 20 [A] : 단상(전선 2가닥 또는 접지선 포함하여 3가닥)인 경우는 4 [KW]까지 커버가 가능 차단기의 용량이 30 [A] : 단상(전선.. 2021. 8. 26.
가정용 분전함(두꺼비집)에서 차단기가 떨어졌을때 - 두번째(전열 관련) 첫 번째 게시물에 이어 두 번째 게시물입니다. 첫 번째 게시물은 일반적인 가정용 분전함과 관련한 제반사항 및 전등 관련 차단기가 떨어졌을 때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었으며 이번에는 일반적인 누전차단기에 대한 사항및 전열 관련 차단기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즉 집안에서 사용하는 벽면 콘센트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또는 에어컨 전용으로 사용되는 차단기입니다. 메인 차단기 아래로 2개 ~ 5개 정도가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다음 편에서는 그 외의 사항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Ⅰ. 전열 차단기(누전 차단기 또는 배선용 차단기) 먼저 아래는 일반적인 (산업용) 누전차단기의 모습입니다. 숫자 1 : 누전차단기의 윗부분으로 전원 측, 즉 메인 차단기로부터 전기를 받아들이는 곳입니다. 붉은 원안의 볼트를 풀면 아래쪽이 벌어.. 2021. 8. 13.
가정용 분전함(두꺼비집)에서 차단기가 떨어졌을때 - 첫번째(전등 관련) 우리들의 주거공간인 주택에는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이제는 없어서는 안 되는 전기를 공급해주는 가정용 분전함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두꺼비집"이라고 하였습니다. 왜냐하면 그 시절에 사용하던 차단기, 즉 커버나이프 스위치(cover kinfe switch)의 모습이 배가 나온 두꺼비 모습을 닮아서 그렇게 불리었습니다. 암튼 이 분전함은 대부분 현관 입구 또는 신발장 근처에 위치하며 매입 형태 또는 노출 형태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전기가 어느 순간 공급이 중단될 때 즉 흔히 말하는 차단기가 떨어졌을 때 어떻게 처리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그럼 아래에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Ⅰ. 가정용 분전함의 형태 아래의 이미지는 노출 형태로 시설된 가정용 분전.. 2021. 8.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