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전반 또는 배전반에서 확인이 가능한 전선들(각 상에 대한)의 색상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전선의 색상은 다양하게 있지만 나름의 규정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기존 규정(내선규정)에서 현재(2021년 1월 1일) 규정으로의 몇 가지 변경된 부분(전선 색상, 절연저항, 허용전류에 따른 전선의 굵기, 접지 기타 등등) 중에 전선 색상에 관해서만 그 내용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이 전선의 색상과 관련하여 자격증 시험 문제로도 자주 출제가 되는 부분이므로 유념하시길 바라며 아래에서 표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내선규정에서 한국전기설비규정으로 변경
2020년까지는 아래와 같이 몇 가지 표준 또는 규정에 따라 각각 전선의 색상을 규정하였으며, 그로 인해 실제 현장에서는 혼란스러운 상황이었고, 안전성과 관련해서도 문제 제기가 있어 왔던 상황입니다. 그리하여 2021년 1월 1일부터 한국전기설비규정(KEC : Korea Electro-technical Code)이 시행되었고 이는 기존 판단기준을 대체하고 현재 통합된 기준으로서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럼 아래 표를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기술기준(판단기준) : 각 상의 전력선에 대한 기준을 따로 두지 않고 보호 도체(녹색 또는 황색)에 대해서만 색상을 두었습니다.
- 내선규정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알고 계시는 색상입니다.(시험 문제로도 많이 출제되었음,) 각 상 R, S, T에 대하여는 흑색, 적색, 청색, 그리고 중성선 N에 대하여는 백색 또는 회색이며, 지금 현장(분, 배전반)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색상입니다.(아래의 분전반 이미지 참조)
-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 한국전력공사 : 여기에서는 각 상에 대해서 R, S, T 가 아닌 A, B, C라고 부르며 색상은 적색, 백색, 청색 그리고 중성선 N에 대하여는 흑색을 사용하였습니다.
- IEC (국제기준) : 여기에서는 각 상에 대해서 L1, L2, L3라고 부르며 색상은 갈색, 흑색, 회색 중에서 한 가지씩 선택 및 조합을 하고 중성선 N에 대하여는 청색을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보호 도체에 대해서는 녹색과 노랑을 섞어서 사용을 하였습니다.
- 한국전기설비기준 : 각 상에 대해서 L1, L2, L3라고 부르며 색상은 갈색, 흑색, 회색으로, 중성선 N에 대해서는 청색으로, 보호 도체에 대해서는 녹색과 노랑을 섞어서 사용을 합니다.
반응형
분전반 예시
아래에서는 실제 분전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겠습니다.
- 상기의 이미지는 변경 전(2021년 이전)의 색상이 적용된 분전반입니다. 기존 설치된 것은 그대로 유지하며 새로이 설치되는 것은 색상이 바뀐 것(갈색, 흑색, 회색, 청색)으로 적용이 되어 설치가 됩니다.
- 숫자 1 : 전선 자체로 각 상의 구분이 안될 때 구분하는 방법으로 전선 종단에 색상 튜브(터미널 튜브)를 이용하여 각 상을 구분한 것입니다. 색상 튜브, 색 테이프 및 도색을 통하여 구분합니다.
- 숫자 2 : 동(구리) 재질의 "부스바"라고 부르는 것으로 각 상 및 중선선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부스바 표면에 색상별 열수축 튜브(압착 튜브)를 입혀서 구분을 하는 것입니다.
참고 사항
- 녹색 전선(GV 전선이라고 합니다.) : 대부분은 접지선으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1.5, 2.5, 4 [SQ]인 경우 접지선이 아닐 수도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 전등이나 전열(콘센트) 선 : 상기의 색상을 지키는 것이 좋으나 실제는 아닌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상으로 전선의 색상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아래에는 변경된 절연저항의 기준 및 다양한 전선의 종류에 대한 게시글이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전기 분야 > 관련 규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증설 및 한전 불입금에 대해서 (0) | 2022.05.20 |
---|---|
접지 방식 및 접지선의 굵기에 대해서 (0) | 2021.09.09 |
절연저항 기준에 대해서 (0) | 2021.09.08 |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기준에 대해서 (2) | 2021.07.10 |
전기안전관리대행 수익에 관한 여러가지 이야기 (0) | 2021.07.07 |
댓글